BFS52 [자바] 백준 18224 - 미로에 갇힌 건우 (java) 목차 문제 : boj18224 필요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BFS) 좀 어려운 BFS 문제이다. 근본은 동일하다. 방문체크와 탐색만 잘 하면 된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BFS에 대해 모른다면 '이 글'을 참고해보자. 특히 '방문체크에 대해 좀 더 써봄' 부분을 이해해야 풀 수 있다. 결국 이 문제도 방문체크를 모든 경우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탐색을.. 2023. 3. 15. [자바] 백준 8061 - Bitmap (java) 목차 문제 : boj8061 필요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BFS) BFS로 최단 거리를 얻어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문제에서 제시된 거리가 '|i1-i2|+|j1-j2|' 인 점에서 상하좌우로 한칸 움직인 것을 거리 1로 보는 '맨해튼 거리' 방식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제에서 원하는건 결국 '1'인 위치들에서 출발해서 '0'인 위치들의 최단거리를 재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 2023. 3. 12. [자바] 백준 1326 - 폴짝폴짝 (java) 목차 문제 : boj1326 필요 알고리즘 BFS (너비 우선 탐색) 각 징검다리에서 이동할 수 있는 모든 곳으로 이동하며 BFS를 진행해서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BFS를 모른다면 'BFS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글을 참고해보자. 일단 맞왜틀을 외치고 있다면, 나처럼 국어 이슈일 수 있다. "징검다리에 쓰여 있는 수의 배수만큼 떨어져 있는 곳" 이 문장에 대해 난 당연히 배수니깐.. 2023. 3. 9. [자바] 백준 18112 - 이진수 게임 (java) 목차 문제 : boj18112 필요 알고리즘 BFS (너비우선탐색) 시작 이진수부터 목표 이진수까지 문제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통해 순회하며 BFS를 진행하는 문제이다. 비트마스킹 애초에 문제 자체가 비트연산을 사용하는걸 전제로 만들어진 듯 하다. 안 쓸 이유가 없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BFS를 모른다면 'BFS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글을 먼저 읽어보자. 이 글에 제시된 동작들은 모두 비트.. 2023. 3. 7. [자바] 백준 1194 - 달이 차오른다, 가자. (java) 목차 문제 : boj1194 필요 알고리즘 BFS (너비우선 탐색) 최단거리를 찾는 문제로 BFS로 풀 수 있다. 비트마스킹 BFS 진행 시 모든 경우에 대해 방문체크가 가능해야한다. 이걸 위해 비트마스킹을 사용한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BFS를 모른다면 우선 'BFS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을 보자. 특히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방문체크에 대해 좀 더 써봄' 부분에 적어놓은걸 이해해야 한.. 2023. 3. 6. [자바] 백준 18513 - 샘터 (java) 목차 문제 : boj18513 필요 알고리즘 개념 BFS (너비 우선 탐색) BFS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논리는 약간 그리디에 가까운 것 같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샘터가 아래처럼 3개가 있다고 해보자. 당연하게도 샘터에서 가장 가까운 곳 부터 집을 두는 것이 이득일 것이다. 따라서 각 샘터에서 출발해 좌우로 퍼지면서 집을 지어주면 된다. 거리가 1 떨어진 집은 아래와 같다. 거리가 1 떨어진 .. 2023. 3. 3. [자바] 백준 27453 - 귀엽기만 한 게 아닌 한별 양 (java) 문제 : boj27453 필요 알고리즘 개념 너비 우선 탐색 (bfs) BFS긴 한데 상당히 난이도가 높은 BFS인 것 같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BFS 추천 문제이다. 문제가 좋은 것 같다. BFS에 대해 모른다면 'BFS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 배열 BFS, 그래프 BFS' 글을 참고해보자. 특히 '방문체크에 대해 좀 더 써봄' 부분이 필요하다. BFS로 풀려면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해.. 2023. 2. 24. [자바] 백준 14940 - 쉬운 최단거리 (java) 문제 : boj14940 필요 알고리즘 개념 그래프, 너비 우선 탐색 (BFS) 그래프에 대한 약간의 규칙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만 이해하면 그냥 BFS 한방에 해결 가능하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모든 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의 최단 거리는 사실, 목표지점에서 모든 지점으로의 최단 거리와 같다. 사실 간선이 양방향이니 당연한 부분이다. 이것만 알면 그냥 목표지점부터 BFS를 한방 돌려서 모든 .. 2023. 2. 14. [자바] 백준 14395 - 4연산 (java) 문제 : boj14395 필요 알고리즘 개념 너비 우선 탐색 (bfs) BFS로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BFS를 모른다면 'BFS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글을 참고해보자. 우선 걸러낼 수 있는걸 먼저 생각해보자. 1. s = s - s; 연산의 경우 무조건 0이 되며, 이후 *, +, / 뭘 해도 0 이외로 벗어날 수 없다. 근데 t는 1 이상으로 입력이 주어진다. 따라서 그냥 버.. 2023. 2. 7. [자바] 백준 11967 - 불켜기 (java) 문제 : boj11967 필요 알고리즘 개념 BFS, DFS 등의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그래프 탐색을 통해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우선 BFS를 모른다면 'BFS 알고리즘 (너비 우선 탐색)' 글을 참고하자. 로직을 정확히 세워서 그래프 탐색을 진행하면 풀 수 있다. 글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각 방의 상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미방문 : 0 - 불 켜져있음 : 1 - 이.. 2023. 2. 5.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