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J749

[자바] 백준 8975 - PJESMA (java) 문제 : boj8975 필요 알고리즘 개념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해시를 통해 어떠한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빠르게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해시에 대해 알고 있다면 문제 파악만 잘 됬다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다. N개의 문자열에 대해, M개의 문자열을 하나씩 입력받다가 N개에서 존재했던 문자열 중 ⌈N/2⌉개가 나온 경우 몇번째인지 출력해주면 된다. 예를들어 예제 입력 1을 보자.. 2022. 9. 13.
[자바, C++] 백준 3052 - 나머지 (java cpp) 문제 : boj3052 필요 알고리즘 개념 사칙연산, 구현, 해시 나머지 연산을 어떻게 구하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기본적으론 배열을 이용해 그냥 구현으로 풀 수 있으나, 해시를 사용해서도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코드에서 나머지연산은 '%'를 사용한다. (자바, c++ 둘 다) 풀이 1 : 해시 사용 10개의 입력을 받으면서 42로 나눈 뒤 나머지를 HashSet에 넣는다. 해시셋은 중복.. 2022. 9. 13.
[자바] 백준 1316 - 그룹 단어 체커 (java) 문제 : boj1316 필요 알고리즘 개념 구현, 문자열 문자열의 각 character를 어느정도 다룰 줄 알아야 하는 구현문제이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간단히 생각해보려면 연속된 동일한 문자를 전부 하나로 줄인다고 생각해보자. 예를들어서 aaabbbbbbcccccddddaaaaaaa 의 경우 연속된 동일한 문자는 하나로 치면, abcda 라고 간단하게 생각해볼 수 있다. 위와 같이 볼 수만 있다면.. 2022. 9. 13.
[자바] 백준 25238 - 가희와 방어율 무시 (java) 문제 : boj25238 필요 알고리즘 개념 사칙연산 수학적으로 퍼센티지 계산을 할 수 있어야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a와 b를 입력받은 후, a에서 b%를 제외해준다. 즉, a - a*(b/100) 를 해준다. 이 값이 100 이상이면 0, 아니면 1을 출력해주면 된다. 주의점은 실수로 계산을 해줘야 한다. 내 경우엔 1d 라는게 있는데, literal로 double 1.0을 의미한다... 2022. 9. 13.
[자바] 백준 24086 - 身長 (Height) (java) 문제 : boj24086 필요 알고리즘 개념 사칙연산 어.. 뺄셈만 할 줄 알면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A와 B를 입력받아 B-A를 출력해주면 된다. 입출력 방법을 모른다면 위의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확인해보자. 코드 : github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 2022. 9. 13.
[자바] 백준 25372 - 성택이의 은밀한 비밀번호 (java) 문제 : boj25372 필요 알고리즘 개념 문자열. 구현 문자열의 길이만 잴 수 있으면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입력만 잘 받으면 된다. N개의 문자열을 입력받고, 길이가 6부터 9 사이인지만 확인할 줄 알면 된다. 길이가 6~9 사이라면 yes, 아니라면 no를 출력해주자. 이하 코드에서 잘 모르겠는 클래스 등이 있다면 위의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확인해보자. 코드.. 2022. 9. 13.
[자바] 백준 2910 - 빈도 정렬 (java) 문제 : boj2910 필요 알고리즘 개념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N은 1000인데 C가 10억이나 된다. 해시를 사용하지 않을꺼라면 값 압축을 해야하는데 그게 더 귀찮으므로 해시를 사용하는게 편하다. 자바로 따지면 HashMap이 필요하다. 정렬 커스텀 정렬이 필요한 문제이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정렬 및 출력에 필요한 정보는 3가지이다. 1. 숫자 2. 해당 숫자가 처음 나온 위치 번호 3. .. 2022. 9. 13.
[자바] 백준 12933 - 오리 (java) 문제 : boj12933 필요 알고리즘 개념 그리디 찾을 수 있는 오리를 한마리씩 모두 찾아주는 규칙을 취하면 더 쉽게 풀 수 있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문제 이해가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문제이다. 사실 문제만 이해 잘 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다. 그러니 여러 예시를 보면서 문제를 잘 이해해보자. 만약 '오리의 최대 마리수'를 찾는다고 생각해보자. 그럼 quackquackquack 에 대해.. 2022. 9. 13.
[자바] 백준 4096 - 팰린드로미터 (java) 문제 : boj4096 필요 알고리즘 개념 브루트포스 모든 경우의 수를 확인해보는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으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팰린드롬 판정 방법 우선 팰린드롬인지 판정하는 방법부터 알아보자. "1231321"를 가지고 생각해보자. 1. 우선 길이를 가지고 반반으로 나눈다. 이 때 홀수라면 정중앙은 무시하면 된다. 2. 그리고 반반으로 나뉜 부분중 아무거나 하나를 돌린다. (1.. 2022. 9. 10.
[자바, C++] 백준 11659 - 구간 합 구하기 4 (java cpp) 문제 : boj11659 필요 알고리즘 개념 누적합 알고리즘 (prefix sum) 누적합 알고리즘을 사용해 풀 수 있는 문제이다. ※ 제 코드에서 왜 main 함수에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는지, 왜 Scanner를 쓰지 않고 BufferedReader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자바로 백준 풀 때의 팁 및 주의점' 글을 참고해주세요. 백준을 자바로 풀어보려고 시작하시는 분이나, 백준에서 자바로 풀 때의 팁을 원하시는 분들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풀이 누적합 알고리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문제이다. 설명은 적어둔게 있으므로, 누적합 알고리즘을 모른다면 이 글을 읽어보고 풀면 바로 풀 수 있다. 코드 (Java) : github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 2022. 9. 10.